NEW CONTENTS
-
농촌지역의 생활권중심의 사회혁신체계 구축방안
들어가며 ○ 2000년 이후 농촌개발사업을 지역수준과 마을수준에서 추진하여 읍면 수준의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었고 해당 수준이 지역 문제 해결도 어려웠다. ○ 농촌 지역은 읍면 간 생활방식, 공간구조의 차이가 있어 각기 다른 요구와 문제가 있으며 이를 지역, 마을 수준에서 대응하기 어렵다. ○ 지역은 공간적 범위가 넓어 개인 생활과 밀접한 의제를 만들기 어렵고 마을은 이미 과소화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범위가 좁거나 참여하는 주민이 작아 주민의 다양한 교류와 소통, 지역사회의 신뢰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어렵다. ○ 도시에서 이주하거나 이주하고 싶은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이들이 유연하게 지역사회에 접속하여 지역을 탐색하면서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가..
Read More
-
생활권 중심의 지역사회 혁신체계 구축
생활권 중심의 지역사회 혁신체계 구축 협동조합 이장 대표 임경수 필요성 ○ 2000년 이후 농촌개발사업을 지역수준과 마을수준에서 추진하여 읍면 수준의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었고 해당 수준이 지역 문제 해결도 어려웠다. ○ 농촌 지역은 읍면 간 생활방식, 공간구조의 차이가 있어 각기 다른 요구와 문제가 있으며 이를 지역, 마을 수준에서 대응하기도 어렵다. ○ 사회혁신의 관점에서 주민의 교류와 소통, 지역사회의 신뢰와 같은 사회적 자본이 필요한데 지역은 공간적 범위가 넓어 개인 생활과 밀접한 의제를 만들기 어렵고 마을은 이미 과소화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범위가 좁거나 참여하는 주민이 작아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어렵다. ○ 또한, 기후변화와 포스트 코로나에 대한 대응과 관련하여 농촌정책의 전환..
Read More
-
퍼머컬처로 여는 시골살이Ⅱ(12)
2부 : 퍼머컬처 적용하기 5. 퍼머컬처의 세번째 큰 원리 : 적절한 규모로 만들어라. (퍼머컬처 원리 9 : 중요한 기능은 중복하라) ■ 퍼머컬처의 원리 9 : 중요한 기능은 중복하라. 어렸을 때 봄 학기 시작되기 전 서울 종로의 백화점에 가서 1년 동안 학교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사곤 했다. 문제는 간혹 백화점 근처에서 선량한 학생의 돈을 뺏는 불량배를 만나는 것이었다. 그래서 종로에 나갈 때 돈을 여기저기 나누어 가지고 갔다. 되도록 지갑에는 조금 넣고 신발 안창, 허리띠 뒤, 가방의 깊숙한 주머니 등등. 그래야 지갑의 돈을 빼앗기고 몸수색을 당하더라도 돈을 지킬 수 있었다. 이렇게 하는 퍼머컬처의 원리가 ‘중요한 기능은 중복하라’이다. 적절한 규모에 다양한 요소를 집약하되 중요한 기능이 충족될 ..
Read More
-
퍼머컬처로 여는 시골살이Ⅱ(11)
2부 : 퍼머컬처 적용하기 5. 퍼머컬처의 세번째 큰 원리 : 적절한 규모로 만들어라. (퍼머컬처 원리 8 : 다기능을 갖추어라) ■ 퍼머컬처의 원리 8 : 다기능을 갖추어라. 무언가를 만들고 도입할 때 하나의 목적이 아니라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퍼머컬처의 8번째 원리 ‘모든 요소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하라’ 이다. 즉, 다기능이다. 연못은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물을 좋아하는 동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휴식을 즐길 수 있고 불이 나면 방화수가 된다. 어떤 것이든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위치에 그 역할에 맞는 구조를 갖추어 만들면 연못을 많이 만들지 않아도 된다. 하천의 작은 둑은 물막이의 기능을 하지만 하천을 건너는 길이 될 수 있고 화재를 막기도 하며 식물을 키우는 공간이 될 ..
Read More
E-JANG BUSINESS
-
잘 하는 일, 하고 싶은 일
퍼머컬처 교육과 워크숍
퍼머컬처(permaculture)는 호주의 빌 몰리슨이 자신의 고향인 태스매니아 섬을 지속가능하게 발전시키기 위해 전세계를 찾아다니며 수집한 전통적 지혜와 경험을 모아 만든 생태적 계획과 설계 체계이며 운영지침입니다. 주식회사 이장은 한국에 퍼머컬처를 소개하고 퍼머컬처디자인스쿨을 개설하였으며 한겨레신문사와 퍼머컬처를 기반으로 생태농장학교, 느린삶학교 등을 운영한 바 있습니다. 협동조합 이장은 전북 완주군 고산면에 협동조합 고산다움의 교육장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퍼머컬처 교육을 시작합니다.
Read More
-
잘 하는 일, 하고 싶은 일
주민교육과 워크숍
주식회사 이장은 퍼머컬처를 기반으로 농촌지역의 마을만들기, 신활력사업, 로컬푸드 등 지역개발사업의 주민교육, 기본계획, 컨설팅에 참여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의 성공요인은 사람, 즉 주민의 역량에 있었습니다. 미리 준비된 주민과 지역사회의 역량이 마을과 지역발전을 견인합니다. 협동조합 이장은 주민과 지역사회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워크숍을 지원합니다. 주민교육과 워크숍, 언제든지 상담해주세요.
Read More
-
잘 하는 일, 하고 싶은 일
지역활동가 교육과 워크숍
주식회사 이장은 지역사회에 일상적인 주민교육과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껴왔으며 이를 중간지원조직이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완주커뮤니티비지니스센터의 설립과 운영에 참여하여 중간지원조직 모델을 정립하였습니다. 이제는 마을만들기,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등 다양한 분야의 중간지원조직이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지역사회에서 중간지원의 역할을 너머 공공적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활동가의 역할도 커지고 있습니다. 협동조합 이장은 교육과 워크숍을 통해 지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지역활동가를 응원합니다.
Read More
-
잘 하는 일, 하고 싶은 일
지역자산화 사업
주식회사 이장의 농촌에서의 경험은 지역사회에 협동조합 운동을 비롯한 사회적경제의 필요성을 알게 했습니다. 하지만 마을만들기, 지역개발사업,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등 아나키적인 다양한 지역주민의 자발적 활동이 부동산 문제로 벽에 부딪히는 현실을 직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협동조합 이장은 토지와 부동산을 지역공동체의 자산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시민자산화 운동으로 이어져 우리나라에서도 로컬리즘 액트(Localism Act)와 같은 기본법이 만들어지기를 기원합니다.
Read More
협동조합 이장 인스타그램 @coop_e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