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촌지역의 생활권중심의 사회혁신체계 구축방안 들어가며 ○ 2000년 이후 농촌개발사업을 지역수준과 마을수준에서 추진하여 읍면 수준의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었고 해당 수준이 지역 문제 해결도 어려웠다. ○ 농촌 지역은 읍면 간 생활방식, 공간구조의 차이가 있어 각기 다른 요구와 문제가 있으며 이를 지역, 마을 수준에서 대응하기 어렵다. ○ 지역은 공간적 범위가 넓어 개인 생활과 밀접한 의제를 만들기 어렵고 마을은 이미 과소화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범위가 좁거나 참여하는 주민이 작아 주민의 다양한 교류와 소통, 지역사회의 신뢰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어렵다. ○ 도시에서 이주하거나 이주하고 싶은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이들이 유연하게 지역사회에 접속하여 지역을 탐색하면서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가.. Read More
생활권 중심의 지역사회 혁신체계 구축 생활권 중심의 지역사회 혁신체계 구축 협동조합 이장 대표 임경수 필요성 ○ 2000년 이후 농촌개발사업을 지역수준과 마을수준에서 추진하여 읍면 수준의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었고 해당 수준이 지역 문제 해결도 어려웠다. ○ 농촌 지역은 읍면 간 생활방식, 공간구조의 차이가 있어 각기 다른 요구와 문제가 있으며 이를 지역, 마을 수준에서 대응하기도 어렵다. ○ 사회혁신의 관점에서 주민의 교류와 소통, 지역사회의 신뢰와 같은 사회적 자본이 필요한데 지역은 공간적 범위가 넓어 개인 생활과 밀접한 의제를 만들기 어렵고 마을은 이미 과소화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범위가 좁거나 참여하는 주민이 작아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어렵다. ○ 또한, 기후변화와 포스트 코로나에 대한 대응과 관련하여 농촌정책의 전환..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