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형 도시재생사업 성과지표 개발 및 매뉴얼 제작 2023년에 이장에서 진행했던 중요한 프로젝트 널리널리 알리기 세번째 반(?) 지난 번 전주에서 진행했던 "2023 전주시 공유공간 운영주체 경영진단 및 네트워크 구축방안 수립 워크숍"에 이어서 거점시설에 대한 성과지표 개발 및 매뉴얼을 제작하는 과업입니다. 사실 성과지표 개발 및 매뉴얼 제작 과업을 먼저 완료 한 이후에 운영주체에 대한 경영진단 및 네트워크 구축방안 수립 워크숍을 진행하는 것이 순서가 맞지만 아쉽게도 뒤바뀐채로 진행이 되었네요... 관련해서 국토연구원에서 배포한 도시재생 종합성과지표 구축 매뉴얼이 있지만 지표의 공간 범위가 거점시설 보다는 도시재생사업 지구 전체를 담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주시처럼 각 거점시설 단위 조직에 대한 경영 전반에 대해 진단, 관리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 Read More 전주시 도시재생사업 '2023년 공유공간 네트워크 컨설팅' 2023년에 이장에서 진행했던 중요한 프로젝트 널리널리 알리기 세번째 이번엔 전주로 갑니다. 이장을 불러주신 곳은 '전주시도시재생지원센터' 전주시도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많은 공유공간이 생겨났습니다. 역시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민 스스로 자율적, 지속적으로 운영해나가라는 방침에 대해 막막해 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당초 센터의 요청도 사업 방침에 따라 각 공유공간들이 정상(?)적으로 운영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성공 사례지 탐방, 공간브랜딩 교육 등의 수익성 확보 방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요청 내용에 대해 이장에서는 우선, '각 공유공간별 경영진단,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유공간 위탁 안정화 방안'을 찾아내 직접 추진해 나갈 ' 전주시 공유공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Read More 세종시 전의면 거점시설 활성화 위한 자원 및 주민 수요조사 용역 2023년에 이장에서 진행했던중요한 프로젝트 널리널리 알리기 두 번째'전의면 거점시설 활성화 위한 자원 및 주민수요조사 용역!'전의면 용역은 세종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요청으로 시작하게되었습니다.세종시 전의면은2016년~2020년 추진된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을 통해 청소년문화센터와 홍보관 두 개 거점시설을 조성하였고2019년~2022년 추진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이야기센터, 게스트하우스, 묘목플랫폼 세 개 거점시설이 조성된 지역으로1개면에 6년 동안 무려 5개 거점시설(건축물에만 약 100억원)이 생겨난 지역이었습니다. 당초 센터의 요청은 전의면을 포함해 인근 조치원, 천안시, 세종행복도시 등과 열결된 주민수요와 자원을 조사하여 거점시설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과 주체 발굴의.. Read More 충주 어울림센터(중심지,기초생활거점 등) 매개자 스쿨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중심지,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과 도시재생사업, 신활력플러스사업 등으로 생겨난 거점공간(대략 40억 안팍의 건물)이 얼마나 될까요? 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 지자체만도 딱 100곳인데 대부분 거점공간을 만들었고 중심지나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은 전체 123개 농어촌시군 중 다수의 시군이 추진했고 나머지 시군도 추진 예정에 있으며 1개 시군 안에서 2~3개의 중심지와 10개 내외 지역이 기초생활거점조성사읍을 진행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개수의 거점공간이 지금까지 생겨났고 앞으로도 생겨날 예정입니다. 문제는 전국적으로 대략 수백개의 거점공간(대략 40억 안팎의 건물) 대부분이 명확한 운영 주체가 없는 상황일 뿐 아니라 거점공간 운영을 위한 추가 지원사업만을 기약없이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장에서.. Read More 이전 1 다음